티스토리 뷰
매년 6월 15일은 노인학대 예방의 날로, 노인의 인권 보호 및 학대 예방을 위해 노인복지법에 따라 제정된 법정 기념일입니다. 노인학대 예방의 날을 맞아 노인학대 종류부터 예측 징후까지! 자세한 내용, 함께 알아보시죠.
2020년 한 해 동안 서울시에 신고 접수된 노인학대는 2,081건, 경찰청으로 2022년에는 하루 평균 35건 꼴로 학대 신고 접수, 이처럼 노인학대가 매년 증가하고 있는 추세입니다.
노인학대의 유형
노인학대는 주로 가정과 시설에서 발생하는데요. 가장 많이 발생한 노인학대 유형은 정서적 학대, 신체적 학대, 방임 순이었습니다. 특히나 노인에게 비난, 모욕, 협박 등 정서적 고통을 주는 정서적 학대가 가정 52.4%, 시설 40.6%로 매우 높게 나타났습니다. 이외에도 아래 표와 같이 다양한 유형의 노인학대가 발생하고 있습니다.
노인학대 유형 | |
정서적 학대 | 비난, 모욕, 위협, 협박 등 정서적 고통을 주는 행위 |
---|---|
신체적 학대 | 신체적 손상, 고통, 장애 등을 유발 시키는 행위 |
성적 학대 | 성적 수치심 유발행위 및 성폭력 등 강제적 성적 행위 |
경제적 학대 | 노인의 의사에 반하여 재산 또는 권리를 빼앗는 행위 |
방임 | 의식주 및 의료를 적절하게 제공하지 않는 행위 |
자기 방임 | 노인 스스로가 심신 위험한 상황이나 사망에 이르게 하는 행위 |
유기 | 보호자 도는 부양 의무자가 노인을 버리는 행위 |
노인학대의 징후 및 신고방법
특히 가정 내 체류 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동거가족 간의 갈등, 생활시설의 출입 제한, 돌봄 종사자의 과도한 업무 등으로 인해 노인학대의 발생 가능성이 높아진 것으로 전문가들은 분석하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노인학대 예방을 위해 우리는 어떻게 행동해야 할까요?
첫째, 이웃 등 주변에 관심을 가져주세요.
노인에게 아래와 같은 징후가 나타난다면 노인학대를 의심해 보세요.
- 제때 치료받지 못한 상처나 부상이 보인다.
- 노인이 거주하는 가정에서 욕설 등 큰소리가 자주 들린다.
- 노인에게 성적 수치심을 주는 행동을 한다.
- 노인의 물건과 금품을 허락 없이 사용한다.
- 영양실조나 탈수상태가 의심된다.
- 노인을 시설에 입소시킨 후 연락을 하지 않는다.
둘째, 노인학대 징후를 발견했다면 꼭 신고해 주세요!
피해자가 직접 신고하기 어려운 경우, 노인학대 징후를 발견한 누구나 신고 가능합니다.
전화신고 : 노인보고전문기관(1577-1389) , 경찰 (112), 국민콜 정부민원안내 (110)
노인 맞춤 돌봄 서비스
서울시는 고령화에 따른 노인학대 증가에 따라 2004년부터 전문보호기관을 설치·운영하여, 노인학대 예방 및 전화 상담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어르신보호전문기관 | ||||
기관명 | 남부노인보호전문기관 | 북부노인보호전문기관 | 서부노인보호전문기관 | 동부노인보호전문기관 |
소재지 | 서초구 남부순환로 2124 | 강북구 노해로 69 | 은평구 역말로10길 30-1 | 강동구 올림픽로 703 |
관할구역 | 구로구, 금천구, 영등포구, 동작구, 관악구, 서초구, 강남구 | 동대문구, 성북구, 강북구, 도봉구, 노원구 | 종로구, 중구, 은평구, 서대문구, 마포구, 양천구, 강서구 | 용산구, 성동구, 광진구, 중랑구, 송파구, 강동구 |
주요업무 | ㆍ상담전화(1577-1389)를 통한 어르신 학대 문제 상담 및 가해행위 신고접수 ㆍ학대받는 어르신 발견 시 학대사례 관여하여 상황에 따라 의료기관 치료 의뢰, 일시보호시설에 입소 의뢰하여 사건 마무리 및 사후관리 ㆍ어르신 학대 예방 및 방지를 위한 홍보 및 교육실시 ㆍ지역사회 관련기관과 협력체계 구축 |
노인 분들을 복지를 위해 혼자 힘으로 생활하기 어려운 노인분들에게 가사 및 활동지원, 안전확인 등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는 노인맞춤 돌봄 서비스부터, 취약계층 스마트케어 확충으로 돌봄 공백을 방지하는 취약어르신 안전관리 설루션까지!
다양한 노인 복지 정책을 확인해 보세요.
노인학대 예방의 날을 맞아 노인학대 유형 및 징후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앞으로도 노인학대 예방과 노인 복지를 위해 지속적인 관심을 기울여주세요!
'생활 플러스 지식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3 여름방학 맞이 자녀와 함께하는 온라인 심리검사를 신청하세요! (0) | 2023.07.19 |
---|---|
따릉이 이용하고 월 최대 5천원 버는 방법 (0) | 2023.07.15 |
보이스피싱 예방법, 반드시 알아야할 4가지 (0) | 2023.07.13 |
전세사기 피해 안전하게 매물 구하는 방법 (0) | 2023.07.12 |
이사 전후 꼭 확인해야 하는 이사 체크리스트 (0) | 2023.07.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