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북아프리카 모로코에 120년 만의 규모 6.8의 대형 지진이 발생하면서 수많은 피해자가 생겨났는데요, 모로코 내무부 발표에 따르면 9월 11일 오후 4시 기준으로 2,122명이 숨지고 2,421명이 다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우리나라 역시 지난 7월 전북 장수에서 규모 3.5의 강진이 발생하면서 더 이상 지진 안전지대가 아니라는 평가가 많습니다.

 

 

지진에 대비하기 위해 우리가 미리 알아둬야 할 국민행동요령은 무엇이 있을까요? 이번 글에서는 지진에 대비하는 체크리스트와 지진 강도별 피해규모, 평상시 지진 대비 방법에 대해 자세히 안내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지진 강도별 피해규모

지진의 원인에는 여러 가지가 있지만 지구를 구성하는 판이 움직이면서 서로 확장하거나 충돌하는 과정에서 생겨나는 것으로 추정하고 있습니다.

 

보통 지진의 강도는 지진 자체가 갖는 에너지인 ‘규모’와 특정 장소에서 느끼는 세기인 ‘진도’로 구분하여 기록하고 있는데요, 우리나라에서는 2016년 경주에서 있었던 규모 5.8의 지진과 2017년 포항에서 있었던 규모 5.4의 지진이 가장 큰 규모로 알려져 있습니다.

 

< 지진 강도별 피해규모 >

강도 피해규모
0 ~ 2.9 대부분 인지 못하는 정도
3 ~ 3.9 큰 피해 없이 진동만 느껴지는 정도
4 ~ 4.9 심각한 피해는 없지만 실내 물건들이 흔들림
5 ~ 5.9 소규모 및 부실공사 건물의 피해
6 ~ 6.9 최대 160km에 걸쳐 모든 건물 피해 불가피
7 ~ 7.9 지표면 균열, 건물 기초 및 지하 매설관 파괴
8 ~ 8.9 수백 km 지역에 걸쳐 교량 및 대형 건물까지 파괴
9 이상 육안으로 지면의 흔들림 확인 가능

다행히 우리나라의 경우 판 경계면에서 떨어져 있다 보니 지진의 규모가 약한 편인데요, 하지만 조선시대 때부터 지진에 대한 기록이 여러 번 있었고 최근 우리나라에도 지진 발생 횟수가 점점 증가하면서 더 이상 안전지대라고 안심하고 있을 수는 없습니다.

 

 

지진 체크리스트

갑작스러운 지진에 대비하기 위한 지진 체크리스트를 살펴보겠습니다. 

 

지진 체크리스트
☐ 옷장이나 그릇장, 냉장고 등을 넘어지지 않도록 고정하기
☐ 텔레비전이나 꽃병 등을 높은 곳에 두지 않기
☐ 창문, 그릇장의 유리가 깨졌을 때 흩어지지 않도록 두꺼운 실내화 준비하기
가구 배치 등을 고려하여 안전한 공간을 확보해 두기 ​
☐ 불을 사용하는 장소 주위에 소화기를 마련해 두기
☐ 건물이나 담장 등 주변을 수시로 점검하고 위험한 부분을 안전하게 수리하기
☐ 지진이 발생했을 때 대피 장소 알아두기
☐ 비상용품 미리 준비하기

 

준비물 체크리스트
☐ 물 ☐ 감기약
☐ 연고 ☐ 손전등, 건전지
☐ 라디오 ☐ 간단한 옷
☐ 비상금 ☐ 라면
☐ 화장지, 물티슈 ☐ 소화제
☐ 통조림 ☐ 라이터

 

비상 연락망 작성해 두기
① 가족연락처
② 우리지역 재난 관리기관
③ 가까운 대피장소

 

 

평상시 지진 대비 방법

⓵ 집안에서 안전하게 있을 수 있는 대피 공간을 미리 파악해 주세요.

⓶ 깨진 유리 등에 다치지 않도록 두꺼운 실내화를 준비해 주세요.

⓷ 가구나 가전제품이 흔들릴 때 넘어지지 않도록 고정해 주세요.

⓸ 떨어질 수 있는 물건은 높은 곳에 두지 말아 주세요.

⓹ 그릇장 안의 물건들이 쏟아지지 않도록 문을 단단히 고정해 주세요.

⓺ 지진으로 인한 화재 예방을 위해 가스 및 전기를 수시로 점검해 주세요.

 

 

⓻ 지진에 대비할 음식이나 약품 등 비상용품을 미리 구비해 주세요.

 

 

지진 시 국민 행동 요령

⓵ 재난 문자를 받았거나 갑자기 진동이 느껴지는 경우 머리를 안전하게 감싸고 탁자 밑으로 숨어주세요.

⓶ 흔들릴 때 이동하면 위험하니 진동이 멈출 때까지 기다려 주세요.

⓷ 흔들림이 멈춘 후에는 지진으로 화재가 날 수 있으니 가스와 전깃불을 차단해 주세요.

⓸ 흔들림이 시작되면 제일 먼저 문을 열어 출구를 확보하고 흔들림이 완전히 멈춘 후에 출구를 통해 밖으로 이동해 주세요.

 

 

 

⓹ 지진으로 엘리베이터가 멈출 우려가 있으니 계단을 이용해 대피해 주세요.

⓺ 유리나 담벼락에서 멀고 넓은 공간으로 이동해 주세요.

⓻ 라디오나 공공기관이 제공하는 재난정보에 따라 행동해 주세요.

 


재난 정보를 알 수 있는 기관

 

 

기상청 날씨누리 홈페이지 바로가기

 

 

 

국민 재난 안전 포털 바로가기

 

 

 


갑작스럽게 나타나기에 미리 예측할 수도 피할 수도 없는 지진!

 

단기간에 많은 피해를 주기에 더욱 무서운 자연재해인데요, 하지만 국민행동요령을 숙지하고 체크리스트를 통해 대비해 둔다면 더 큰 피해를 막을 수 있습니다.

주변의 이웃과 가족들도 지진의 위험에 대비할 수 있도록 관련 정보를 꼭 주변에 공유해 주세요!

지진 대피 요령 대표 이미지
지진 대피 요령 이미지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