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경기 순환과 경기흐름 

경기순환과 경기흐름

경기가 좋은 때란 어떤 때?

흔히 경기가 좋다느니 나쁘다느니 말한다. 무슨 뜻일까?

경기란 경제의 상태가 된다. 경기가 좋다면 경제 상태가 좋다는 뜻, 경기가 나쁘다면 경제 상태가 나쁘다는 뜻이다. 

경기가 좋을 때는 무슨 일이 생기나?

투자, 생산, 고용, 소비 활동이 활발해지고 규모가 커진다. 소비가 늘어 상품이 잘 팔리므로 기업은 이익을 더 보려고 투자와 생산을 늘린다. 원재료나 부품 같은 중간재도 더 산다. 

중간재란 상품 생산의 중간 단계에 쓰는 재화다. 완제품 생산 기업이 중간재 구매를 늘리면 중간재를 생산, 판매하는 기업뿐만 아니라 원재료를 가공해 파는 기업도 일감이 늘어난다. 

기업에 일감이 늘면 일자리가 많아지고 그만큼 가계 수입이 늘어난다. 가계 수입이 늘면 소비도 늘어나므로 상품도 더 많이 팔린다. 그럼 기업이 이익을 늘리려고 투자와 생산을 늘리면서 공장과 기계설비, 사무 건물등 생산 설비와 인력 고용 규모가 커진다. 

투자, 생산, 소비가 꼬리를 물고 커지면서 판매와 고용이 확대되면 정부가 걷는 세수도 커진다. 세수가 늘면 정부 재정에 여유가 생기므로 정부가 지출을 늘리고 공공사업을 늘릴 수 있다. 공공사업이 늘면 기업 일감이 많아져서 일자리도 따라 늘고 가계소득도 커지므로 가계 소비도 늘어난다. 가계 소비가 활발해지면서 판매가 늘면, 투자, 고용, 생산이 더 확대된다. 경기가 좋을 때는 이렇게 소비, 생산, 투자, 고용 활동이 맞물려 서로를 점점 더 활발히 움직이게 부추긴다. 이른바 호황 또는 호경기라고 부르는 경제 상태다. 

잘 나가던 경기, 어쩌다 꺾이나

경기는 잘 나가다가도 반드시 내리막길을 걷는다. 

호황 때는 소비와 판매가 늘어나므로 기업이 순조롭게 돈을 번다. 생산과 투자가 늘어나고 원재료와 중간재, 고용에 들이는 돈 씀씀이도 커진다. 가계도 임금 등 수입이 늘어 소비를 늘릴 수 있다. 이처럼 경기가 확대되는 와중에 수요 초과 현상이 나타나면 실물 경기가 꺾이는 조짐이기 쉽다. 수요 초과란 수요량이 공급량에 비해 많아지는 현상, 바꿔 말하면 수요량에 비해 공급량이 부족해지는 현상이다. 수요 초과 현상이 나타나면 물가가 올라 경기를 끌어내린다. 

경기 흐름, 뭘로 알아보나

국민경제는 장기간에 걸쳐 활발해졌다 저조해졌다 하기를 거듭한다. 경제활동이 장기간 확대와 위축을 반복하는 현상을 경기 순환 또는 경기 변동이라고 부른다. 

경기순환은 자본주의 체제에서 국가나 세계단위를 막론하고 계속 나타나고 있다. 여러 경제 국면 가운데 불황은 ㅅ람들 경제생활에 심각한 악영향을 끼친다. 그래선지 불황을 가리키는 다른 이름이 많다. 갑작스럽게 나타나는 심한 불황은 공황, 경기 침체 강도가 특히 세고 범위가 넣은 불황은 대공불황이라고 부른다. 대불황 대신 공황이나 대공황이라고 부를 때도 있다. 현대 자본주의 사상 가장 심각한 대불황의 예로 꼽는 것은 1929년 미국에서 발생한 불황이다. 당시 불황은 1930년대 내내 지속되면서 세계로 퍼졌고 주가 폭락과 대규모 기업 파산, 대량 실업사태를 낳은 끝에 제2차 세계대전을 치르고 나서야 해소됐다. 

자본주의 경기순환에 주기가 있다는 사실은 1825년 자본주의 종주국 영국이 맨 처음 심한 불황을 맞은 뒤 학계에서 여러 주장을 내놓으며 알려졌다. 

경기가 주로 기업 설비 투자 주기를 따라 약 10년마다 순환한다는 주글라 파동설, 주로 기술혁신과 사회기반시설 투자가 이루어지는 주기를 따라 약 50년마다 순환한다는 콘드라티예프파동설, 약 40개월 주기로 순환한다는 키친파동설, 인구증가율이 경제성장률에 영향을 미쳐 약 20년마다 순환한다는 쿠즈네츠파동설이 대표적인 예이다. 후대 학계에서는 키친파동을 거친 단기파통, 쥐글라 파동과 쿠즈네츠파도를 중기 파동, 콘드라티예프파동을 장기파동으로 분류한다. 

경기순환 주기를 놓고 여러 주장이 있지만 정설은 없다. 경기가 언제 좋아지고 나빠지는지 정확히 알 수 없다는 얘기다. 호황의 정점, 경기 저점이 언제 오는지 알려주는 분명한 지표도 없다. 호황과 불황이 발생하는 시점이나 지속 기간도 불규칙하다.. 흔히들 경기가 어떻다고 말하지만 현재 경기가 순환 사이클에서 어떤 국면에 있는지 정확히 알기는 쉽지 않다. 안다 쳐도 경기가 언제 다음 국면으로 넘어갈지 예측하기 어렵다. 그런데 막상 경기 변화가 경제활동에 미치는 영향은 매우 크다. 경기 흐름을 잘못짚었다가는 누구라도 큰 낭패를 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