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경제란 무엇인가
사람이 살려면 여러 가지 욕망을 채워야 한다. 음식을 먹어야 하고, 옷을 입어야 하고 의사의 진료를 받아야 한다. 음식과 옷, 의사의 진료처럼 사람의 욕망을 채워주는 것을 통칭 재화라 한다.
재화 중에는 음식이나 옷처럼 눈에 보이고 손으로 만져 볼 수 있는 물건도 있지만 의사의 진료처럼 사람이 제공하는 노동도 있다. 사람이 제공하는 노동은 물건 형태의 재화와 구분해서 서비스 또는 용역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재화는 어떻게 구하나?
주로 돈을 벌어서 구한다. 대개의 재화가 돈을 매개로 매매되기 때문에 돈으로 재화를 거래하는 사회에서는 돈만 있으면 거의 모든 재화를 손에 넣을 수 있다.
돈을 벌려면 어떻게 해야 하나?
사람들의 원하는 재화를 만들거나 구해서 시장에 내다 팔아야 한다. 그러자면 시간과 비용을 들여 투자부터 해야 할 때가 많다. 기업가라면 생산설비를 갖추고 원료와 인력을 사들여 시장에서 매매될 수 있는 재화 곧, 상품을 생산해 내야 한다. 학생이라면 학비를 들여가며 실력을 행성 해서 고용시장이 원하는 노동력을 갖추어야 한다.
사람들이 원료와 노동력을 사들이고 상품을 생산해 파는 사이 투자, 구매, 고용, 생산, 판매, 소비 활동이 벌어진다. 이렇게 사람들이 재화를 얻기 위해 벌이는 투자, 구매, 고용, 생산, 판매, 소비 활동을 묶어 경제라고 한다.
경제가 성장한다, 무슨 뜻일까?
나라 단위 경제를 국민경제라고 부른다. 국가 경제 또는 나라 경제와도 같은 뜻이다.
국민경제는 크게 세 부문, 곧 가계, 기업, 정부로 이루어진다. 그래서 가계, 기업, 정부를 국민경제 3대 주체라고 부른다. 가계, 기업, 정부는 저마다 재화를 생산하고 시장에서 만나 서로 재화를 교환한다. 가계는 기업에 노동력을 제공하고 임금 등 보수를 받아 생계를 꾸린다. 기업은 가계가 제공하는 노동력에 대가를 치르고 정부에 세금을 내는 대신 가계와 정부에 재화를 팔아 돈을 번다. 정부는 기업과 가계에 공공서비스를 제공하는 대신 세금을 걷어 재정을 운영한다.
국민경제 내부에서는 가계, 기업, 정부 사이에 재화의 생산, 유통, 소비가 서로 꼬리를 물듯 이어지며 순환한다. 경제 단위마다 생산, 유통, 소비과정을 흐르는 재화의 수량이나 금액 크기를 경제 규모라 하는데, 국민경제는 대개 시간이 흐르면서 규모가 커진다. 경제 규모가 커지는 현상은 곧 경제성장과 같은 뜻으로 통할 때가 많다.
경제가 성장하면 재화가 전보다 많이 생산, 유통, 소비되고 기업수나 일자리도 늘어 사람들 생활이 풍족해진다. 다만 경제가 늘 성장만 하는 것은 아니다. 어떤 때는 생산, 유통, 소비 과정을 흐르는 재화량이 줄어들기도 한다. 경제규모가 줄어들어 경제성장세가 퇴보하는 경우다, 경재성장세가 퇴보하면 재화가 전보다 적게 생산, 유통, 소비된다. 기업수나 일자리도 줄고 실업자가 늘어난다. 아무래도 사람들 생활에 여유가 없어진다.
경제상태는 뭘로 알아보나
흔히 경제가 성장한다느니 퇴보한다느니 말한다. 그런데 경제를 그림 보듯 한눈에 볼 순 없다. 특히 국민경제처럼 큰 경제는 언제 어떤 상태에 있는지 판단하기 쉽지 않다. 그럼 사람들은 뭘 보고 경제가 좋아졌느니 나빠졌느니 얘기할까?
보통 사람들은 자기 주변 사정을 기준으로 말한다. 자영업자라면 벌이가 시원찮을 때 요즘 경기가 나쁘다고 말하는 식이다. 경제 상태를 이런 식으로 진단해서 안될 것은 없다. 다만 내 주변과 경제 전체를 놓고 본다면, 둘 사이 사정이 다를 수도 있으니 진단이 정확하다고 자신이 어려울 것이다. 이런 방식 말고 경제 상태를 정확히 파악할 방법이 없을까?
경제전문가나 연구기관, 정부 경제 정책 당국 등은 주로 경제지표를 쓴다. 지표란 사물이 어떤 상태인지를 나타내 알 수 있게 해주는 것이다. 경제지표는 경제의 주요 부문을 분석하고 측정해서 경제가 어떤 상태인지 객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게 도와준다. 주로 통계 기관이나 경제연구소에서 통계 기법등을 써서 경제성장률 물가상승률, 국제수지, 실업률 같은 통계 형태로 만들어 낸다. 작성과정은 복잡하지만 결과는 대개 한눈에 알아보기 쉽게 간략한 숫자 등으로 표시한다.
경제지표를 볼 줄 알면 경제를 더 정확히 이해할 수 있다.
'경제관련궁금증'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기와 금리의 관계 (1) | 2023.04.05 |
---|---|
경기순환과 경기흐름 (0) | 2023.04.04 |
스테그플레이션은 언제 오나 (0) | 2023.03.31 |
유가는 왜 내려가도 문제일까 (0) | 2023.03.30 |
유가와 경기 (0) | 2023.03.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