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신용카드를 사용하다 보면 저절로 쌓이는 포인트를 잘 모아 사용하는 것이 소비생활에 쏠쏠한 재미를 주기도 합니다. 하지만 카드사별로 다양한 혜택에 여기저기 만들어두었던 신용카드마다 흩어진 적립포인트를 미처 사용하지 못하거나 잊어버려 소멸되어 버리는 경우도 많은데요. 매년 사라지는 카드 포인트의 규모는 약 1000억 원에 달한다고 합니다. 2020년 상반기에도 소멸시효에 쓰지 못한 포인트가 483억에 육박한다고 하는데요
여러 카드의 포인트를 한 번에 현금화해 원하는 계좌로 이체시켜 주는 ‘카드 포인트 일괄 계좌이체 시스템’이 개시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카드포인트 일괄 계좌이체 시스템의 사용 방법과 주의사항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카드포인트 일괄 계좌이체 시스템 구축
카드 포인트는 이전까지 여신금융협회의 ‘카드 포인트 통합조회 서비스’를 통해 적립 내역을 한꺼번에 조회할 수 있었지만 현금화는 할 수 없었습니다. 현금화를 하고 싶다면 각 카드사에 문의하는 수밖에 없었는데요.
1월 5일부터 개시한 ‘카드 포인트 일괄 계좌이체 시스템’은 여러 카드의 포인트를 한 번에 현금화해 원하는 계좌로 이체시켜 주는 서비스입니다. 신한·삼성·KB국민·현대·롯데·우리·하나·비씨·NH농협·시티·우체국카드 11곳이 일괄 조회·현금화 대상이며 1포인트당 1원으로 매겨져 계좌이체가 가능합니다.
서비스 사용 방법
외국인을 포함한 개인회원은 홈페이지나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이용할 수 있습니다. ‘카드포인트 통합조회 계좌입금 홈페이지(www.cardpoint.or.kr)’나 ‘카드포인트 조회·이체’ 애플리케이션에 접속해 카드인증과 아이핀인증, 휴대전화인증 등 방식으로 본인인증을 거쳐야 합니다. 이후 포인트 통합조회를 한 뒤 입금 계좌를 입력하고 계좌인증을 거쳐 현금화하길 원하는 액수를 설정하는 방식입니다.
이체를 신청한 포인트는 비씨·신한·우리·KB국민·NH농협카드의 경우 실시간으로, 나머지는 실시간 혹은 늦어도 다음 영업일 이내에 받아볼 수 있습니다. 또 카드 포인트는 현금화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국세납부, 기부 등에도 활용할 수 있는데요. 신용카드 포인트도 상속할 수 있으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주의사항
‘카드 포인트 일괄 계좌이체 시스템’을 사용할 때는 몇 가지 알아두어야 할 점이 있습니다.
먼저 이체 신청을 완료하면 취소나 정정이 불가능하니 신중하게 선택을 해야 합니다. 금융사 시스템 점검 시간인 오후 11시 30분~오전 0시 30분을 제외하고 모든 시간에 이용 가능하지만, 카드사별 1일 1회만 계좌이체 신청이 가능합니다. 타인 명의의 계좌이거나 본인 명의의 계좌라 하더라도 지급 정지나 압류 등으로 비정상 계좌로 확인될 경우에는 이체 신청을 할 수 없습니다.
2023.06.14 - [생활 플러스 지식정보] - 카드 자동납부 통합 서비스 변경 및 해지 방법 알아보기
공중분해되는 카드 포인트만 매년 약 1,000억 원에 이른다고 하는데요. ‘카드 포인트 일괄 계좌이체 시스템’을 적절히 활용해 소중한 내 혜택을 알뜰히 누리시길 바랍니다. 카드 포인트 일괄 계좌이체 시스템 관련 자세한 내용은 여신금융협회 카드포인트 통합조회 계좌입금 홈페이지(https://www.cardpoint.or.kr/)에서 확인해 주시기 바랍니다.
'경제관련궁금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납부 세금 10만 원 당 1P 자동 적립? '세금 포인트' 혜택·사용 방법 안내 (0) | 2023.08.09 |
---|---|
여름 휴가철, 렌터카 이용 예약, 사고 발생, 인수 및 반납 시 주의 사항 (0) | 2023.08.07 |
여권 유효기간 만료, 온라인으로 간편하게 재발급 받는 방법 (0) | 2023.07.30 |
운전면허 자진반밥 어르신께 교통카드 10만원 지원 혜택 (0) | 2023.07.26 |
현명한 금전거래 노하우, 차용증에 꼭 들어가야 할 내용 (0) | 2023.07.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