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현 정부는 청년들의 중장기적인 자산 형성을 위해 청년 도약 계좌를 추진 중입니다. 월 70만원 납입 시 5년간 최대 800만 원을 지원할 예정입니다. 만 19세이상 34세 이하라면 누구나 신청을 할 수 있습니다. 6월 출시될 청년 도약 계좌 신청 방법에 대해서 알려드리겠습니다. 청년도약계좌란? 청년의 자산 형성을 돕기 위해서 정부에서 추진하는 과제로 만 19세 ~34세 청년 중 개인 소득과 가구 소득 기준을 충족하는 청년을 대상으로 가입자의 납입 금액에 비례해 정부 기여금을 넣어주고, 이자소득을 비과세로 하는 상품입니다. 매달 70만 원씩 (최대한도) 납입하면 5년 (만기 5년) 후에 정부가 800만 원을 지원하여 5천만 원을 받을 수 있게 됩니다. 청년도약계좌 자격조건, 가입대상 청년도약계좌 가입은 나..

우리는 의도치 않은 타인의 행동에 행복해지는가 하면 불편해지기도 합니다. 타인의 행동, 즉 나의 외부에서 일어난 일이 나에게 영향을 주는 것인데, 이러한 일은 경제 주체들이 서로 영향을 주고받는 경제 활동 과정에서도 종종 일어납니다. 경제학에서는 이러한 현상을 두고 외부 효과라고 표현합니다. 외부 효과는 어떠한 경제적 행위가 일어났을 때 그 행위를 하지 않은 제삼자가 혜택을 보면서도 비용을 지불하지 않는 상황을 의미합니다. 제삼자가 피해를 보면서도 보상을 받지 못하는 상황 역시 외부 효과에 해당합니다. 시장 실패가 발생하면 시장 내에서 문제가 자연스럽게 해결되기도 하지만, 시장에서 문제가 해결되기 어려워 정부가 시장에 개입하는 일도 빈번히 일어납니다. 따라서 외부 효과로 인해 시장이 실패할 때 문제를 해..

소비자의 반응에 민감하고 빠르게 변화하는 식품 산업에는 유행이 존재합니다. 어떤 과자는 재고를 보유한 매장을 찾기 어려울 만큼 전국적인 인기를 끌었고, 아보카도와 같은 특정 식재료가 유행을 타기도 했습니다. 또 크로플이 유행하자 여러 카페에서 너도나도 신메뉴로 내놓았습니다. 유튜브에서 먹방 콘텐츠로 다뤄진 음식, 인스타그램에 올리기 좋은 '인스타그래머블' 한 음식이 유행처럼 번지기도 합니다. 그렇다면 현재의 식품 트렌드는 어떨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식품 트렌드의 현재 매년 식품 산업의 트렌드를 분석해 발표하는 서울대학교 푸드비즈랩은 코로나19 확산 이후 사람들이 탄수화물과 당류 섭취를 줄이는 한편, 면역력을 높이고 근육량을 늘리는 데 도움이 되는 단백질 섭취는 늘리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사람들은 육류..

최근 유튜브나 TV에서는 김혜수, 김희애, 조인성 등 우리나라 유명 배우들이 등장하는 모바일 앱 광고를 많이 접할 수 있습니다. 화려한 출연진을 내세워 고급스러운 분위기를 연출하고 있는 이 광고들, 단순한 온라인 쇼핑몰 광고는 아닙니다. ‘명품을 왜 백화점에서 사?’라는 배우 김혜수의 광고 속 한 마디 대사가 말해주듯이, 이러한 광고들은 백화점의 명품관에 가지 않고도 클릭 몇 번으로 명품을 간편하게 구매할 수 있는 온라인 명품 플랫폼들을 소개하고 있습니다. 코로나19 시대의 비대면 기류가 명품 시장을 온라인 소비의 궤도로 올려놓았고, 발란· 트렌비·머 스트릿과 같은 온라인 명품 플랫폼들이 급성장하고 있습니다. 매장을 방문해 직접 보고 구매하던 명품의 소비가 빠르게 디지털화될 수 있었던 이유와 온라인 플랫..

행동경제학은 심리학, 사회학, 문화학 등 다양한 학문의 관점에서 인간의 행동을 해석하는 경제학의 한 분야입니다. 허버트 사이먼(Herbert A. Simon)은 이러한 행동경제학을 최초로 연구한 것으로 알려진 학자입니다. 그는 제한된 합리성(Bounded Rationality)*이라는 개념을 통해 전통 경제학의 가정과 달리 인간은 스스로 알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충분히 좋다는 생각이 드는 대안을 선택한다고 주장했습니다. 그는 또한 인지 능력의 한계로 인해 인간은 지나치게 많은 정보 속에서 합리적인 판단을 포기하는 경향이 있다고도 보았습니다. 행동 경제학, 제한된 합리성을 거론하다 현실적으로 선택을 할 때 모든 경우를 고려해 의사 결정을 내리는 것은 불가능하고, 그렇게 하려고 하더라도 막대한 비용이 소요됩..

심각한 수준의 환경오염이 계속되면서 인류의 생존이 위협받자 더 이상의 환경 파괴를 막기 위해 여러 국가들이 한데 힘을 모으고 있는 것입니다. 환경에 대한 관심은 소비자 사이에서도 커지고 있습니다. 이왕이면 ‘그린’, ‘에코’ 등의 수식어가 붙은 친환경 제품을 소비하거나 일회용품을 사용하지 않는 등 환경오염을 줄일 수 있는 방향으로 소비 습관을 바꾸려는 사람들이 많아지고 있습니다. 또한 더 좋은 근로 환경을 제공하거나 사회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노력하는 기업의 제품을 찾는 소비자도 늘어나고 있습니다. 이렇게 전 세계적으로 사회적 가치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기업은 ‘이윤 추구’와 더불어 ‘지속가능성’까지 고려한 경영 전략을 찾아가고 있습니다. ESG경영이란? 세계 최대 자산운용사 블랙록(Blackrock..

거대 음원 서비스 회사 카카오 M과 스포티파이 카카오 M은 로엔 엔터테인먼트로 2004년에 설립된 대한민국의 음악 스트리밍 회사입니다. 그것은 현재 한국의 주요 인터넷 회사인 카카오의 자회사이고, 한국에서 가장 큰 음악 스트리밍 플랫폼인 멜론 음악 스트리밍 서비스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멜론은 2,800만 명 이상의 사용자와 K-pop과 다른 인기 있는 한국 음악 장르를 포함한 방대한 음악 라이브러리를 가지고 있는 한국 음악 스트리밍 시장에서 지배적인 시장 점유율을 가지고 있습니다. M 카카오는 또한 음악 제작, 배급, 관리와 같은 음악 관련 서비스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반면 스포티파이는 2006년 스웨덴에서 설립된 글로벌 음악 스트리밍 플랫폼입니다. 현재 세계에서 가장 인기 있는 음악 스트리밍 서비스로 ..

기업의 주식을 산다는 것은 그 기업의 지분을 가진다는 뜻입니다. 투자자는 보유한 지분에 비례해 기업의 수익을 나눠 갖거나(배당), 보유한 주식을 다른 투자자에게 되팔 수 있습니다. 기업들은 사람들이 자유롭게 주식을 사고팔 수 있도록 자사의 주식이 거래소에서 매매될 수 있게 하는데, 이를 상장(Listing)이라고 합니다. 이러한 주식은 한국거래소와 같은 전 세계 각 주식시장에서 매일(공휴일 제외) 거래됩니다. 시중에 자금이 늘어날 때 주식시장의 반응은? 시장에서 자금이 증가하면 주가와 주식 시장의 전반적인 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자금이 증가하면 투자자들이 시장에서 강세를 보이고 있다는 신호가 될 수 있으며, 이는 그들이 미래에 경제와 개별 기업들이 좋은 성과를 낼 것이라고 믿는다는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