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온라인 쇼핑을 즐겨하시는 분이하면 새로운 판매 플랫폼으로 떠오른 라이브 커머스를 한 번이라도 시청해 보셨을 것입니다. 실시간 스트리밍 방송으로 소비자와 채팅으로 소통하며 상품을 판매하여, 모바일홈쇼핑이라고 불리는 라이브 커머스에서 쇼호스트 역할을 하고 있는 커머스 크리에이터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라이브커머스, 커머스크리에이터란? 라이브커머스 라이브커머스는 라이브스트리밍과 전자살거래의 합성어로 실시간으로 제품을 구매할 수 있는 상품 판매 채널을 말합니다. 모바일을 통해 판매자나 쇼호스트와 실시간으로 소통하면서 상품을 구매할 수 있다는 장범이 있으며 산지의 생생함을 실시간으로 전달할 수도 있고, 상품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주며 고객이 판매자의 진정성을 느끼도록 할 수 있습니다. 또한 쇼핑과 소통을 ..

우리는 종종 언론 보도를 통해 정부 청사나 국회의사당 앞에 쌀이나 양파 등 농산물을 쌓아 두고 시위를 벌이는 농민들을 볼 수 있습니다. 정부나 국회에 농산물의 가격 폭락에 대한 대책 마련을 요구하는 농민들의 모습입니다. 농민들이 땀 흘려 키운 배추나 무를 시장에 내다 팔지 않고 밭에서 갈아엎는 모습 또한 낯설지 않습니다. 애써 생산한 농산물을 싼값에라도 팔면 생산비의 일부라도 회수할 수 있을 텐데 왜 갈아엎는지 의아하게 느껴질 수도 있을 것입니다. 그러나 농민들의 입장에서는 농산물을 수확하고 판매하는 데 드는 인건비·포장비·운송비 등을 따지면 차라리 갈아엎는 것이 손해를 줄이는 선택일 수 있습니다. 농산물 가격 파동이 자주 일어나는 이유 일반적으로 상품의 가격이 하락하는 것은 수요보다 공급이 많기 때문입..

코로나19 감염여부를 직접 확인할 수 있는 자가진단키트에 대한 수요가 갑자기 늘어나면서 정부는 자가 진단 키트를 ‘위기대응 의료제품’으로 지정하는 한편, 약국과 편의점에서만 판매할 수 있게 온라인 판매를 금지하고, 1인이 구매할 수 있는 수량을 최대 5개로 제한했습니다. 또한 키트 종류에 상관없이 1회 사용분은 무조건 6,000원에 판매하도록 했습니다. 이는 미허가 키트가 시중에서 거래되는 것을 방지하고, 키트가 안정적인 가격 수준에서 판매되는 것을 목적으로 한 가격 통제 정책이었습니다. 최저 가격제와 최고 가격제 정부는 물가를 안정시키고 소비자 또는 생산자의 부담을 줄이기 위해 가격 통제 정책을 시행하곤 합니다. 가격 통제 정책은 재화나 서비스를 정부가 정한 가격보다 낮거나 높은 수준에서 거래하지 못하..

최근 기획부동산이라는 이름으로 부동산 거래를 하며 피해액이 몇천억에 달하고 피해자가 수만 명에 이르는 기획부동산 피해가 발생하였습니다. 이러한 피해가 발생하는 이유는 무엇이고, 이들의 사기수법이 어떤 것인지 당하지 않으려면 어떻게 해야 하는지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기획부동산 사기 수법 기획부동산은 쉽게 말해, 현재 가치가 없는 땅이 개발사업으로 인해 땅값이 크게 오를 것이라 속여 판매하는 행위입니다. 이들은 정부의 개발에 관한 정보를 기반으로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고 국민을 상대로 교묘하고 악랄하게 사기를 치고 있습니다. 기획부동산 업체들이 초보 땅투자자들을 겨냥하여 사기를 치기 위해 사용하는 개발에 관한 정보는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습니다. 실제 정부에서 추진하는 개발에 관련된 정보, ..

이른바 길거리 음식이라고 불리는 스트리트푸드는 K-컬처의 관심이 커짐에 따라 k-스트리프푸드라는 이름으로 더욱 인기가 높아지고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길거리 음식과 K-스트리트푸드에 대한 경제 이야기를 해보겠습니다. 길거리 음식도 하나의 문화 길거리 음식은 저렴하고 빠른 조리와 높은 접근성 때문에 많은 사람들이 찾고 즐기고 있습니다. 유엔식량농업기구 자료에 따르면 세계에서 매일 25억 명의 사람이 길거리 음식을 먹는다고 합니다. 2017년 서울시가 추산한 7,307개 노점 중 약 43%가 음식 노점상으로 파악되고 있으니, 우리나라도 길거리 음식을 소비하는 인구가 적지 않다고 볼 수 있습니다. 그동안 많은 사람들이 길거리 음식을 즐긴 이유는 사회 발달과 함께 바빠지는 생활 속에서 간단하게 끼니를 해결하기..

반려동물은 우리 삶에서 그 어느 때보다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길을 걷다 보면 반려동물과 산책을 나온 사람들을 자주 볼 수 있고, 반려동물과 관련된 TV 프로그램도 늘어나고 있습니다. 반려동물을 바라보는 사람들의 인식도 많이 바뀌고 있습니다. 이처럼 반려동물과 함께하는 가구가 느는 동안 반려동물 관련 산업도 함께 성장했습니다. 이런 현상을 반영해 반려동물을 뜻하는 ‘펫(Pet)’과 경제를 뜻하는 ‘이코노미(Economy)’를 결합한 ‘펫코노미(Petconomy)’라는 신조어도 등장했습니다. 이러한 신조어의 등장 배경을 알아보고, 새롭게 생겨난 펫코노미 관련 산업(이하 펫산업)에서 기업의 혁신이 어떻게 작동하는지 살펴보겠습니다. 펫코노미의 성장 1인 가구의 증가, 저출산ㆍ고령화 등의 사회 변화를..

이번 글에서는 올해부터 달라진 소득공제와 세액공제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소득공제와 세액공제란 국방, 교육, 의료 등 국가가 국민들에게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재원을 조달해야 하는데, 국가의 재정은 주로 조세수입을 통해 확보합니다. 개인의 소득에 대해서는 소득세가 부과되는데, 현행 소득세법과 조세특례제한법에서는 서민과 중산층의 세부담을 줄이기 위한 다양한 지원제도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지원제도의 대표적인 방식이 바로 소득공제와 세액공제입니다. 소득공제와 세액공제 알아두면 이로운 세법 올해부터 달라진 소득공제 소득공제란 과세의 대상이 되는 소득 중에서 일정 금액을 공제해 주는 것을 말합니다. 올해 생활비 부담을 줄여주기 위해 확대되는 소득공제 항목이 있습니다. 1. 주택임차차입금 소득공제..

2022년 2월 재출시 후 선풍적인 인기를 끌고 있는 포켓몬 빵. 24년 만에 재출시된 포켓몬 빵은 그야말로 없어서 못 살 정도로 화려하게 부활했습니다. 그런데 그 인기는 빵에 있는 것이 아니라 함께 들어 있는 포켓몬스터 스티커, 띠부띠부씰에 있습니다. 스티커만 빼내고 빵을 버리는 사람들이 있는가 하면, 중고 거래 플랫폼에는 스티커만 비싸게 파는 사람들도 나타났습니다. 이처럼 포켓몬 빵의 가치는 띠부띠부씰에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소비자들이 그렇게 느껴서이기도 하지만, 경제학적인 관점으로도 그렇습니다. 왜 그런지 지금부터 살펴보겠습니다. 포켓몬 스티커에 숨어 있는 의미 포켓몬 빵 자체는 기존에 흔히 볼 수 있었던 빵들과 크게 다르지 않습니다. 다른 점이라면 빵 봉지에 포켓몬스터 캐릭터가 그려져 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