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유가는 뭐가 움직이나
유가를 움직이는 것은 뭘까?
원유도 상품이므로 기본 요인은 수급이다. 산지에서 생산을 줄이거나 경기 침체로 수요가 줄면서 시세가 내리고, 증산이나 경기 확대로 수요가 늘면 시세가 오른다.
수급 말고 가장 중요한 요인은 미국 달러 시세다. 원유는 국제 시장에 주로 미 달러로 거래하기 때문이다.
달러 시세가 세지면 같은 액수로도 더 많은 원유를 살 수 있다. 이를 테면 1달러로 살 수 있는 우너유가 1배럴에서 2배로 뛰고, 원유 대금이 배럴당 1달러에서 0.5달러로 낮아지는 식이다. 달러 시세가 오르면 원유 시세는 내리는 식으로 달러와 원유는 시세가 반대로 움직인다.
미국은 달러를 발행하므로 달러 시세가 강해질수록 원유를 싸게 살 수 있어 좋다. 수급등을 이유로 원유 시세사 비싸질 때 달러 시세를 높이는 정책울 써서 유가 하락을 유도할 수 있다. 1970년대 국제 유가가 급등했을 때 미 정부가 달러 시세를 높이는 정책을 써서 유가를 떨어 뜨으렷다,
미국은 달러 시세를 유가에 대응할 수 있지만 우리나라처럼 달러를 발행하지 않는 나라는 그럴 수 없다. 원유를 사려면 먼저 원화로 달러를 사야 하므로 달러 시세가 오르면 원화 부담이 커진다.
그럼 달러 시세가 약해지면 원화 부담이 줄어들까?
그렇지도 않다. 달러 약세 때는 원유 가격이 오르기 때문이다. 원유구매량을 줄이지 않는다면 달러를 더 살 수밖에 없다. 평소 달러로 원유를 사는 나라는 달러 시세가 세지든 약해지든 상관없이 늘 달러를 사야 한다.
세계가 원유 거래를 주로 미 달러로 하게 된 것은 언제부터 일 끼?
1970년대 중반 미국이 사우디아라비아 등 중동 산유국과 협약을 맺고 나서다. 원유 결제 대금을 달러로 하는 대신 미국이 중동 산유국 정부를 국내외의 군사 공격에서 보호해 주기로 했다. 이후 원유 수입국으로부터 원유와 달러의 수요가 함께 늘어나면서 달러는 국제 거래에 가장 많이 쓰이는 통화로 자리 잡았다.
석유정치경제학 : 중동유가는 왜 늘 문제인가
원유산지는 중동과 영국, 미국, 러시아 등 여러 곳에 걸쳐 있다. 세계가 많이 거래하는 원유는 미국산 WTI, 북해산 브렌트유, 중동산 두비이유다.
우리나라는 주로 두바이유를 사 왔다. 약 7~8할은 두바이에서 나머지는 동남아, 아프리카, 아메리카, 유럽에서 들여온다. 자연히 우리나라 유제품 시세에 두 바이산 유가가 큰 영향을 끼친다. 두바이유를 많이 사는 이유는 뭘까? 다른 원유보다 값이 싸기 때문이다. 다만 두바이유라고 해서 늘 싼 것은 아니다. OPEC이 이런저런 이유로 생산을 줄이면 단박에 시세가 뛴다. 중동 정치가 정세가 불안해져도 마찬가지다.
중동에는 늘 종교 분쟁을 비롯해 복잡한 국제 정치 역할이 작용한다. 친미성향 이스라엘이 종교가 다른 아랍 산유국과 늘 적대하고, 아랍 산유국끼리도 종파가 나뉘어 다툰다. 때문에 잘못하면 전쟁이 일어난다. 전쟁이 난다고 당장 원유 생산이 줄어들지는 않지만, 원유 생산과 판매를 평소처럼 못 할 가능성이 생기므로 시세가 뛴다.
중동은 세계 최대 규모의 원유 매장지다. 세계 원유 생산량의 31.3%를 차지할 만큼 원유 산지로서 비중이 크다. 중동 원유 수급에 문제가 생기면 세계 전체 원유 수급에 문제가 생겨 유가가 뛴다. 우리나라처럼 원유를 많이 수입하는 나라는 물가가 올라 경제에 타격을 입기 쉽다. 경제가 잘 굴러가려면 공장을 돌리고 차를 굴리는 데 많은 원유가 필요한데, 유가가 뛰면 기업은 생산비와 판매비 부담이 커지고 소비자는 소비자 물가 부담이 늘기 때문이다. 물가가 급등하면 국민경제가 급격히 위축될 가능성이 높다.
실제로 세계는 중동 정세가 비상했던 1973년과 1979년에 유가가 급등하는 바람에 일제히 심한 물가폭등을 겪은 적이 있다. 이른다 두 차례 오일쇼크다.
1차 위기는 아람과 이스라엘 간에 전쟁이 나면서 발생했다. 유가가 폭등해 많은 나라가 물가 폭등을 겪었다. 2차 위기는 이란에서 반미 민족주의 혁명이 일어나고 발생했다.
이란에서 혁명이 일어난 이유는 중동에 발을 들인 오일메이저와 관계가 깊다.
출처 : 경제기사 궁금증 300문 300 답
'경제관련궁금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테그플레이션은 언제 오나 (0) | 2023.03.31 |
---|---|
유가는 왜 내려가도 문제일까 (0) | 2023.03.30 |
물가와 경기 (0) | 2023.03.30 |
주식이란 무엇인가 (0) | 2023.03.30 |
금융이란 무엇인가 (0) | 2023.03.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