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경기가 좋아지면 왜 물가가 오르나
경기가 좋아지면 물가가 오르는 게 보통이다. 왜 그럴까?
수요가 늘고 생산비가 오르기 때문이다. 경기가 확대되면서 생산 활동이 활발해지면 기업이나 가계가 소비가 늘어난다. 소비가 늘면 원재료, 에너지, 노동력 같은 생산요소와 상품수요가 커진다. 수요가 공급보다 많아지면 가격이 오르게 마련, 원재료나 에너지 가격, 인건비가 오르면 기업은 생산비 부담이 커지므로 완성품 판매가를 올려 이익 수준을 전처럼 유지하려 한다. 한둘이 아니라 많은 기업이 같은 이유로 제품 판매가를 올리면 결국 물가가 오른다. 경기가 좋을 때는 소비자의 소비 의욕이 높아진다. 비싼 상품도 기꺼이 사들인다. 기업 입장에서는 판매가 잘 되니 생산비가 더 들어도 생산량을 늘린다. 기업이 생산을 늘릴 때는 대개 노동력이 더 많이 필요하다. 노동력은 공급이 한정되어 있는 생산요소이므로 기업 수요가 커지면 임금이 오른다. 임금이 오르면 물가가 올라도 소비가 줄지 않는다. 물가가 오르는데도 상품이 계속 잘 팔리면 기업은 생산비를 늘려가며 생산을 더 늘리고, 생산비가 늘어나는 만큼 상품 판매가도 늘려가며 생산을 더 늘리고, 생산비가 늘어나는 만큼 상품 판매가도 더 올린다. 결국 경기가 좋아지면 생산과 소비가 활발해지면서 물가가 오른다. 반대로 경기가 나빠지면 소비 수요가 줄면서 물가가 떨어지기 쉽다. 경기가 나빠져서 생산 활동이 침체하면 직장인의 임금 수입이 늘지 않아 가계 수입이 정체한다. 가계 수입이 제자리걸음을 하면 소비가 정체되거나 줄어들기 때문에 물가도 상승률이 둔해지거나 떨어진다. 보통은 그렇지만 예외가 있다. 수입품 가격이 오를 때는 경기가 나빠도 물가가 오를 수 있다. 1997년 말 우리나라가 외환위기를 맞은 직후가 그랬다. 당시는 경기가 아주 나빴는데도 수입품 가격이 급등하는 바람에 물가가 치솟았다. 미국발 글로벌 금융위기가 발생한 2008년 그리고 200년 상반기도 그랬다. 경기가 나쁜데 원유를 비롯한 수입 상품 가격이 급등해 제품 재료값과 완제품 판매가를 자극한 탓에 물가가 치솟았다. 수입 상품은 크게 완제품과 재료로 나눌 수 있다. 수입품 가격이 뛰면 수입 완제품뿐 아니라 수입 재료로 만든 국내산 완제품도 판매가가 뛰어 물가를 올린다.
가계 소비가 어떻게 물가 움직이나
가계경제는 국민경제에서 차지하는 역할이 크다. 특히 가계 소비의 증감은 물가를 움직여 경기와 국민경제에 큰 영향을 미친다. 가계 소비가 어떻게 물가를 움직일까? 경기, 특히 기업 생산 활동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경기가 좋아지고 경제가 성장하면 가계 수입이 늘면서 소비가 늘어난다. 늘어나는 소비는 생산 의욕을 자극해서 기업이 상품을 더 많이 생산하게 만든다. 늘어나는 상품을 더 많은 소비가 받아내면 경기는 한층 확대된다. 경기가 확대되면 상품 수요가 많아져 생산비가 오르므로 물가가 오른다. 물가가 오르면 가계는 구매력이 줄기 때문에 소비를 줄여야 한다. 가계 소비가 줄면 기업은 판매가 줄기 때문에 생산을 줄여야 한다. 결국 경기가 위축된다. 경기 부침에는 금리도 변수로 끼어든다. 경기가 확대되다 보면 자금 수요가 공급을 넘어서면서 금리가 오른다. 금리가 오르면 시중에서 돈 구하기가 전보다 어려워지므로 가계 소비나 기업 생산, 투자가 위축된다. 소비와 생산이 위축되는 사이 생산 라인과 조직, 인력을 줄이는 기업이 늘어난다. 문 닫는 회사까지 많아지면 실직자가 늘어 경기가 가라앉기 쉽다.
경기가 나빠지면 가계는 수입이 줄기 때문에 소비를 줄여야 한다. 소비 수요가 줄면 기업 판매가 부진해지고 상품 수요에 비해 공급이 남아돌면서 물가가 떨어진다. 경기가 위축되면서 물가가 떨어질 때는 사람들이 장차 물가가 더 내릴 거라고 생각해 돈을 덜 쓰고 저축을 늘린다. 그럴수록 시장에서는 자금 공급이 수요에 비해 많아진다. 그럼 금리도 내린다. 물가와 금리가 함께 하락 행진을 한다. 물가와 금리가 한동안 내리고 나면 물가와 금리가 낮아진 상황을 이용해서 돈벌이를 하려는 수요가 커진다. 생산 수요와 투자 수요도 다시 늘어나고 고용과 소비도 도로 늘어 경기가 되살아날 수 있다. 다만 물가와 금리가 낮고 고용이 늘어나더라도 가계가 소비를 늘리지 않으면 경기가 살아날 수 없다. 가계 소비가 국민경제에 중요한 이유이다.
'경제관련궁금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테그플레이션은 언제 오나 (0) | 2023.03.31 |
---|---|
유가는 왜 내려가도 문제일까 (0) | 2023.03.30 |
유가와 경기 (0) | 2023.03.30 |
주식이란 무엇인가 (0) | 2023.03.30 |
금융이란 무엇인가 (0) | 2023.03.30 |